자료구조 (Data Structure)
💡자료구조 (Data Structure)란?
- 자료 구조(Data Structure)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직화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 즉,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, 접근, 수정,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.
분류
💡자료 구조는 크게 선형(Linear)과 비선형(Non-Linear) 구조로 나눌 수 있으며, 정적(Static)과 동적(Dynamic) 구조라는 관점으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선형 자료 구조 (Linear Data Structure)
- 정의 : 데이터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, 각 요소가 이전/다음 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.
- 특징 :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음
- 예시
- 배열(Array)
- 스택(Stack)
- 큐(Queue)
-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
2️⃣ 비선형 자료 구조 (Non-Linear Data Structure)
- 정의 : 데이터가 계층적(Hierarchical) 또는 그물망(Graph)처럼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.
- 특징 : 단순히 앞에서 뒤로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불가능함
- 예시
- 트리(Tree)
- 그래프(Graph)
3️⃣ 정적 자료 구조 (Static Data Structure)
- 정의 : 메모리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며, 런타임 중 변경되지 않는 구조입니다.
- 장점 : 메모리 접근 속도가 빠름
- 예시 : 배열(Array)
4️⃣ 동적 자료 구조 (Dynamic Data Structure)
- 정의 : 런타임 중 메모리 크기를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.
- 장점 :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
- 예시
- 스택(Stack) (링크드리스트 기반)
- 큐(Queue) (링크드리스트 기반)
출처
https://www.geeksforgeeks.org/data-structures/
Data Structures Tutorial - GeeksforGeeks
Your All-in-One Learning Portal: GeeksforGeeks is a comprehensive educational platform that empowers learners across domains-spanning computer science and programming, school education, upskilling, commerce, software tools, competitive exams, and more.
www.geeksforgeeks.org
반응형
'Coding Test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 / Java] Lv.1 햄버거 만들기 (0) | 2025.05.05 |
---|---|
[Data Structure] 큐 (Queue) (0) | 2025.05.05 |
[프로그래머스 / Java] Lv.2 올바른 괄호 (1) | 2025.05.03 |
[Data Structure] 스택 (Stack) (0) | 2025.05.02 |
[BAEKJOON / Java] Silver 스택 2 (1) | 2025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