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의 기본 구조
💡네트워크 (Network)
네트워크는 노드(Node)와 간선(Link)으로 이루어진 그래프 형태의 자료구조로 표현 가능하다.
- 노드(Node) : 컴퓨터, 스마트폰, 서버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
- 간선(Link) : 노드 간 정보를 주고받는 유무선 통신 링크
이러하 구조를 통해 다양한 장비들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.
💡네트워크 토폴로지 (Network Topology)
네트워크 상에서 노드와 노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 부른다.
노드가 어떻게 연결되고 배치되느냐에 따라 망형, 트리형, 링형, 성형, 버스형(선형)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.
- 망형(Mesh) : 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연결
- 트리형(Tree) : 계층적 구조
- 성형(Star) : 중앙 허브를 중심으로 연결
- 버스형(Bus) : 하나의 공통 링크를 공유
💡네트워크 토폴로지 (Network Topology)
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정보를 최초로 송신하고 최종 수신하는 노드를 호스트(Host)라고 부른다.
💡LAN과 WAN
💡패킷 교환 네트워크
💡주소의 개념과 전송 방식
두 호스트가 패킷을 주고 받는 과정
💡프로토콜
💡네트워크 참조 모델
OSI 모델
1️⃣ 물리 계층
2️⃣ 데이터 링크 계층
3️⃣ 네트워크 계층
4️⃣ 전송 계층
5️⃣ 세션 계층
6️⃣ 표현 계층
7️⃣ 응용 계층
TCP/IP 모델
💡
💡캡슐화와 역캡슐화
출처
https://www.hanbit.co.kr/store/books/look.php?p_code=B3079890360
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with CS 기술 면접
기술 면접과 실무에 필요한 CS 지식, 한 권으로 끝내자!
www.hanbit.co.kr
'CS 기술 면접 준비 > 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with CS 기술 면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4-5. (1) 트리의 종류 (업데이트 중..) (0) | 2025.06.30 |
---|---|
[자료구조] 4-5. (1) 트리 (0) | 2025.06.29 |
[자료구조] 4-4. 해시 테이블 (업데이트 중..) (0) | 2025.06.24 |
[자료구조] 4-3. 스택과 큐 (0) | 2025.06.23 |
[자료구조] 4-2. 배열과 연결리스트 (2) | 2025.06.20 |